아르미나스 나르베코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미나스 나르베코바스는 리투아니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그는 1980년대 후반 잘기리스 빌뉴스에서 활약하며 소련 득점 순위 2위에 올랐고, 198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와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오스트리아로 이적하여 FK 아우스트리아 빈에서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3회 우승을 이끌었다. 2003년에는 리투아니아 축구 연맹으로부터 리투아니아 역대 최고의 선수인 골든 플레이어로 선정되었다. 선수 은퇴 후에는 잘기리스 빌뉴스, FK 방가 가르그주다이 등의 감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투아니아계 오스트리아인 - 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1480년)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인 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은 막시밀리안 1세의 딸이자 부르고뉴 여공 마리의 외동딸로, 프랑스 왕세자와 약혼 후 파혼, 스페인 왕태자비, 사보이 공작과의 재혼, 네덜란드 총독 역임, 르네상스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아르미나스 나르베코바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아르미나스 나르베코바스 |
출생일 | 1965년 1월 28일 |
출생지 | 소련 리투아니아 SSR 가르그주다이 |
신장 | 1.75m |
포지션 | 공격형 미드필더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해당 정보 없음 |
클럽 | 1983-1990: 잘기리스 빌뉴스 (155경기 51골) 199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14경기 2골) 1990-1996: FK 아우스트리아 빈 (115경기 32골) 1996-1998: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 (50경기 9골) 1998-1999: FCN 장크트 푈텐 1999-2000: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 (20경기 4골) 2000-2001: SV 훈트샤임 2001-2003: 비너 SK (11경기 0골) 2003-2004: 화이트 스타 브리기테나우 (11경기 2골) 2004-2005: SV 바이커스도르프 (23경기 9골) |
국가대표 | 1988: 소련 올림픽 (7경기 2골) 1990-2001: 리투아니아 (13경기 4골) |
수상 | |
메달 | 남자 축구 올림픽 1988 서울 금메달 (팀) |
감독 경력 | |
감독 | 2004-2005: SV 바이커스도르프 2006-2007: FK 잘기리스 2007-2009: SV 도나우 랑겐레바른 2009-2012: FK 방가 가르그주다이 2010-2012: 리투아니아 (수석 코치) 2012: FK 스파르타크스 유르말라 2013-2015: 리투아니아 U-21 |
2. 어린 시절과 클럽 경력
1962년 가르그주다이에서 태어난 나르베코바스는 어린 시절 아이스하키 골텐더를 꿈꿨으나 축구로 전향, 잘기리스 빌뉴스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1983년 성인 무대에 데뷔하여 1987년 팀의 소련 톱 리그 3위 달성에 기여하는 등 핵심 선수로 성장했다. 이후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를 거쳐 1990년 오스트리아 빈으로 이적,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3연패(1991, 1992, 1993)와 오스트리아컵 2회 우승(1992, 1994)을 이끌었다.
1996년부터는 SCN 아드비라 바커 등 여러 오스트리아 클럽에서 활약하다 2004년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2. 1. 초기 ( ~ 1990)
1962년 1월 28일 가르그주다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안드레이 나르베코프는 타타르계 숲의 형제들 소속 대위로 제2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 참전 군인이다. 종전 후 가르그주다이에 정착하여 현지 여성과 결혼 후 8명의 자녀를 낳았으며, 나르베코바스는 그 중 막내이다.원래 아이스하키 골텐더가 꿈이었으나, 축구로 전향하여 가르그주다이 학교 축구팀에 입단했다. 1976년 코자니 먀치 대회에 참가했으나 아르메니아 SSR팀에 패했다. 1977년 파네베지스 체육 기숙 학교 축구팀에서 활동하다 미나스 젤케비추스에게 훈련을 받았다. 젤케비추스가 FK 잘기리스 빌뉴스 감독으로 부임하자 그를 따라 잘기리스 빌뉴스에 입단했다.
1983년 4월 19일 FC 토르페도 쿠타이시와의 경기로 성인 선수로 데뷔했다. 74분에 교체되었고, 경기는 2-1로 빌뉴스가 승리했다. 6월 7일 FC 디나모 민스크와의 경기에서 0-1로 패했다. 9월 18일 FC 니스트루 키시너우와의 경기에서 전반 종료 후 교체되었다. 첫 시즌에 5경기에 출전, 1골을 기록했다.
1984년과 1985년 시즌에는 부상과 주전 경쟁으로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1985년 후반기부터 주전 자리를 잡으며 10골을 넣어 팀 내 득점 2위를 차지했다. 1986년 시즌에는 30경기에 출전해 10골을 넣으며 리투아니아 SSR 리그 득점왕이 되었다. 1987년 소비에트 톱 리그에서 16골을 넣어 빌뉴스를 3위로 이끌었고, 올레크 프로타소프에 이어 소련 득점 순위 2위를 차지, 소련 최상위 선수 33인에 선정되었다. 1987년 8월 2일 소비에트 컵에서 FC 네프탸니크 페르가나를 11-3으로 대파했고, FC 드네프르 드네프로페트롭스크와 공동 3위를 차지했다. 이는 리투아니아팀의 유일한 소비에트 컵 입상 기록이다. 소련 연방 국가대표팀 일정으로 리그 경기에 집중하지 못하다 UEFA컵 1988-89에서 FK 아우스트리아 빈과의 경기에 참가했으나 빌뉴스는 패했다.[4]
소련 붕괴 직전 리투아니아 등 발트 3국이 독립을 선언, 발트 축구 리그를 만들자 빌뉴스도 합류했다. 나르베코바스는 발트 리그에서 16골을 넣었다. 1990년 7년간 뛰었던 빌뉴스를 떠나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로 이적, 톱리그 14경기에서 2골을 넣었다. 바츨로바스 유르쿠스, 비아체슬라바스 수크리스토바스, 아르비다스 야노니스, 발다스 이바나우스카스 등 리투아니아 선수들과 서구 리그 진출을 모색했다. 1990년 7월 라트비아 출신 예우게니스 밀레우스키스가 있던 FK 아우스트리아 빈의 제의를 받고, 유리 쇼민 감독의 동의를 얻어 빈에 입단했다.[5]
2. 2. 오스트리아에서의 활약 (1990 ~ 2001)
1990년 7월 나르베코바스는 소련 출신 라트비아 축구 선수 예우게니스 밀레우스키스가 몸담고 있던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의 FK 아우스트리아 빈으로부터 입단 제의를 받았다. 당시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의 감독인 유리 쇼민이 나르베코바스의 해외 진출에 동의를 얻은 후 빈에 입단하였다.[4]1990년 11월 10일 나르베코바스는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19라운드에서 SK 슈투름 그라츠와의 원정 경기를 통해 아우스트리아 빈의 선수로서 데뷔 경기를 가졌다. 이 경기에서 빈은 1-0으로 승리하였다. 이후 SK 포어베르츠 슈타이어와의 경기에도 출전했으나 1-4로 패하였고 22라운드인 퍼스트 비엔나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여 팀의 6-3 승리에 기여했다. 나르베코바스는 아우스트리아 빈 첫 시즌에 13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넣으며 리그 우승을 함께 했다. 이로 인해 그는 생애 첫 프로 리그 우승을 기록했다.[5] 1991-1992 시즌에서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우승에 기여하였고 자신의 생애 첫 UEFA 챔피언스리그에도 출전하기도 하였다. 1992-93 시즌에는 14 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하였고 다음 시즌에는 48경기에 출전하여 아우스트리아 빈의 리그 우승에 기여하였다.
이 시기에 나르베코바스는 SV 베르더 브레멘과 바이어 04 레버쿠젠 등의 독일 분데스리가 팀의 관심을 샀으나 부상으로 인해 분데스리가 진출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1994년 시즌에는 오스트리아컵 우승에 기여하였고 1995 시즌에는 17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넣었다. 이후 1995-96 시즌을 마지막으로 아우스트리아 빈과 작별하였다. 나르베코바스는 FK 아우스트리아 빈의 선수로서 6번의 시즌에 참가하였고 3번의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우승(1991, 1992, 1993), 2번의 오스트리아컵(1992, 1994) 우승을 기록하였다.
1996-97 시즌에 나르베코바스는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의 SCN 아드비라 바커로 이적하였다. 그는 9골을 넣는 등 활약하였으나 팀의 최하위권 등극을 막지 못했다. 이후 1998년에 오스트리아 2부 리그인 에르스테 리가의 FCN 장크트푈텐으로 이적하여 2부 리그에서 뛰었다. 이후 1999-2000 시즌에 다시 아드미라 바커로 이적하였다. 2000-2001 시즌에는 오스트리아 3부 리그 중 하나인 동부 리그의 SV 훈트셰임에서 활동했으며 한 시즌 만에 같은 리그의 비너 SK로 이적하여 11경기에 출전했다.[6] 이후 2003년 7월에 5부 리그의 팀인 화이트 스타 브리기테나우에 입단하여 뛰었다. 다음 시즌에 5부 리그팀 SV 바이커스도르프의 플레잉 코치로 이적하였고 한 시즌 후에 선수에서 은퇴했다.
2. 3. 선수 생활 말년 (2001 ~ 2004)
나르베코바스는 1995년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뛰었고, 이후 아드미라 바커와 여러 하위 리그 클럽에서 선수 생활을 마쳤다.[6] 1996-97 시즌에 아드미라 바커로 이적하여 9골을 넣었으나 팀의 최하위권 등극을 막지 못했다. 1998년에는 오스트리아 2부 리그인 에르스테 리가의 FCN 장크트푈텐으로 이적하여 2부 리그에서 뛰었고, 1999-2000 시즌에 다시 아드미라 바커로 복귀했다. 2000-2001 시즌에는 오스트리아 3부 리그 중 하나인 동부 리그의 SV 훈트셰임에서 활동했으며, 한 시즌 만에 같은 리그의 비너 SK로 이적하여 11경기에 출전했다. 2003년 7월에는 5부 리그 팀인 화이트 스타 브리기테나우에 입단하여 뛰었고, 다음 시즌에 5부 리그팀 SV 바이커스도르프의 플레잉 코치로 이적하여 한 시즌 후에 선수에서 은퇴했다.3. 국가대표팀 경력
1987년 여름 유고슬라비아 자그레브에서 열린 198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 소련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대한민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 공로로 나르베코바스를 포함한 소련 대표팀은 소련 국제급 체육 대가 칭호를 받았다.[7] 1988년 하계 올림픽 예선에 참가하여 스위스와의 경기에 출전했다. 아나톨리 비쇼베츠 감독에 의해 올림픽 본선 대표팀에 합류한 나르베코바스는 서울 올림픽에서 6경기에 선발 출전했다. 9월 22일 미국전과 9월 27일 이탈리아전에서 골을 넣었다.[7] 브라질과의 결승전에서는 발목 부상에도 불구하고 출전했으나 유리 사비체프와 교체되었다. 소련은 브라질을 2-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0년 봄, 나르베코바스와 발다스 이바나우스카스 등 몇몇 리투아니아 선수들은 1990년 FIFA 월드컵 준비를 위해 소련 대표팀 훈련에 참가했다. 그러나 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출범이 확정되자 리투아니아 대표로 소집되어 1990년 5월 27일 조지아와의 친선 경기에 참가, 선제골을 넣으며 리투아니아 국가대표팀 첫 득점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 경기는 국제 축구 연맹(FIFA)에 가입되지 않아 A매치로 인정되지 않았다.[7] 이후 1992년 4월 14일 오스트리아와의 친선 경기를 통해 A매치에 처음으로 출전했고, 1994년 FIFA 월드컵 지역 예선에 참가했다. 1997년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했으며, 2001년 이탈리아와의 UEFA 유로 2004 예선에 참가 후 대표팀에서 은퇴했다.
나르베코바스는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FIFA 승인 경기는 없었지만,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이탈리아를 상대로 연장전 골을 넣어 소련의 3-2 승리에 기여했다.[7] 그는 부상으로 인해 리투아니아 국가대표로 13경기 출전, 4골 득점에 그쳤다.[7]
4. 지도자 경력
나르베코바스는 선수 은퇴와 동시에 SV 바이커스도르프를 떠나 2005년 11월에 리투아니아 축구 연맹의 권유로 자신이 몸담았던 잘기리스 빌뉴스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러나 빌뉴스는 부진에 빠져 리그 4위로 시즌을 마쳤고 2006년 10월에 해고되었다. 이후 감독직은 이고리스 팡크라테바스에게 돌아갔다.[1]
이후 오스트리아로 건너가 아마추어 클럽인 SV 도나우 랑글레바른의 감독이 되어 오스트리아에 장기 체류하게 되자 오스트리아 시민권을 획득하였다. 이로 인해 그의 리투아니아 국적이 말소되었으나 리투아니아의 대통령 발다스 아담쿠스의 개입으로 2009년 2월에 리투아니아 국적이 회복되었다.[1] 2009년 12월에는 리투아니아의 클럽인 FK 방가 가르그주다이 감독직을 제안받자 이를 수락하여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당시 리투아니아 국가대표 골키퍼 출신인 바이다스 주타우타스와 알기만타스 브랴우니스가 코치로서 그를 보좌했다.[1] 2010년에는 리투아니아 국가대표팀의 보조 코치를 겸했다. 이후 2012년 7월 23일에 라트비아의 축구팀인 스파르타크스 유르말라의 감독이 되었다.[1]
5. 수상 내역
대회 | 우승 횟수 | 시즌 |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3 | 1990–91, 1991–92, 1992–93 |
오스트리아 컵 | 2 | 1991–92, 1993–94 |
1988년 서울 올림픽 | 1 | 1988 |
나르베코바스는 FK 오스트리아 빈 선수 시절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3회 우승(1991, 1992, 1993)과 오스트리아컵 2회 우승(1992, 1994)을 기록했다.[6] 또한 소련 올림픽 대표로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7]
5. 1. 개인
나르베코바스는 1985년부터 1988년까지 4차례나 리투아니아 올해의 축구 선수로 선정되었다.[9] 2003년 11월, 유럽 축구 연맹(UEFA)의 창립 기념일을 축하하기 위해, 그는 리투아니아 축구 연맹에 의해 지난 50년간 최고의 선수인 국가의 골든 플레이어로 선정되었다.[10]수상 | 내용 |
---|---|
UEFA 주빌리 어워드 | 유럽 축구 연맹(UEFA) 골든 플레이어 대표 |
리투아니아 올해의 축구 선수 | 1985, 1986, 1987, 1988 |
리투아니아 올해의 선수 | 1985, 1986, 1987, 1988 |
하계 유니버시아드 | 1987년 득점왕 |
5. 2. 클럽
나르베코바스는 1976년에 소련 유소년 아마추어 축구 클럽 간의 경기 대회인 코자니 먀치에 참가하였으나 아르메니아 SSR팀에게 패하여 우승을 내주었다. 1977년에는 파네베지스의 체육 기숙 학교 축구팀에서 활동하다가 미나스 젤케비추스를 만나 그에게 훈련을 받았고, 젤케비추스가 소련 축구 선수권 대회 상위팀인 FK 잘기리스 빌뉴스의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자 그를 따라 잘기리스 빌뉴스에 입단하였다.1983년 4월 19일, 현재 조지아의 클럽인 FC 토르페도 쿠타이시와의 경기를 통해 성인 축구 선수로 데뷔하였다. 나르베코바스는 선발로 출전하였고 74분에 교체되었다. 이 경기는 2-1의 점수로 빌뉴스의 승리로 끝났다. 이후 3개월 동안 출전하지 못하였고 9월 18일에 FC 니스트루 키시너우와의 경기에서 다시 복귀하였고 전반전 종료 후에 다시 교체되었다. 나르베코바스는 첫 성인 리그 시즌에 5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넣었다.
1985년 후반기부터 팀의 주전 자리를 꿰차며 10골을 넣으며 12골을 넣은 시기타스 야쿠바우스카스의 뒤를 이어 팀내 득점왕 2위를 차지했다. 1986년 시즌에서는 30경기에 출전하여 10골을 넣으며 리투아니아 SSR 리그의 득점왕에 올랐다. 1987년에는 소비에트 탑 리그에서 16골을 넣으며 빌뉴스를 3위를 차지하는 데에 기여하였고 올레크 프로타소프의 뒤를 이어 소련 득점 순위 2위를 차지하였고 해당 시즌 소련 최상위 선수 33인에 선정되었다. 이후 UEFA컵 1988-89에서 FK 아우스트리아 빈과의 경기에 참가하였고 빌뉴스는 이 경기에서 패했다.[4]
소련이 붕괴에 직면하여 리투아니아 등의 발트 3국이 독립을 표명하여 발트 축구 리그를 발족하자, 나르베코바스의 팀인 빌뉴스도 발트 리그에 가세하였다. 나르베코바스는 신생 발트 리그에서 16골을 넣는 등 활약했다. 이후 1990년에 7년 동안 뛰었던 빌뉴스 팀과의 작별을 고하고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로 이적하였다. 그는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소속으로서 소비에트 톱리그 14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넣었으며 얼마 가지 않아 바츨로바스 유르쿠스, 비아체슬라바스 수크리스토바스, 아르비다스 야노니스, 발다스 이바나우스카스 등의 리투아니아 선수들은 서구 리그의 팀의 입단을 위해 여러 팀과 접촉하였다. 1990년 7월에 나르베코바스는 라트비아 축구 선수 예우게니스 밀레우스키스가 몸담고 있던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의 FK 아우스트리아 빈으로부터의 입단 제의를 받았고 당시 로코모티프의 감독인 유리 쇼민이 나르베코바스의 해외 진출에 동의를 얻은 후 빈에 입단하였다.[5]
1990년 11월 10일,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19라운드에서 SK 슈투름 그라츠와의 원정 경기를 통해 아우스트리아 빈의 선수로서 데뷔 경기를 가졌다. 이후 SK 포어베르츠 슈타이어와의 경기에도 출전했으나 1-4로 패하였고 22라운드인 퍼스트 비엔나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는 활약을 하여 팀의 6-3 승리에 기여했다. 나르베코바스는 아우스트리아 빈 첫 시즌에 13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넣으며 리그 우승을 함께 했다. 1991-1992 시즌에서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우승에 기여하였고 자신의 생애 첫 UEFA 챔피언스리그에도 출전하기도 하였다. 1992-93 시즌에는 14 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하였고 다음 시즌에는 48경기에 출전하여 아우스트리아 빈의 리그 우승에 기여하였다. 이 시기에 나르베코바스는 SV 베르더 브레멘과 바이어 04 레버쿠젠 등의 독일 분데스리가 팀의 관심을 샀으나 부상으로 인해 분데스리가 진출은 이루지 못하였다. 1994년 시즌에는 오스트리아컵 우승에 기여하였고 1995 시즌에는 17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넣었다. 이후 1995-96 시즌을 마지막으로 아우스트리아 빈과 작별하였다. 나르베코바스는 FK 아우스트리아 빈의 선수로서 6번의 시즌에 참가하였고 3번의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우승(1991, 1992, 1993), 2번의 오스트리아컵(1992, 1994) 우승을 기록하였다.[6]
1996-97 시즌에 나르베코바스는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의 SCN 아드비라 바커로 이적하였다. 그는 9골을 넣는 등 활약하였으나 팀의 최하위권 등극을 막지 못했다. 이후 1998년에 오스트리아 2부 리그인 에르스테 리가의 FCN 장크트푈텐으로 이적하여 2부 리그에서 뛰었다. 이후 1999-2000 시즌에 다시 아드미라 바커로 이적하였다. 2000-2001 시즌에는 오스트리아 3부 리그 중 하나인 동부 리그의 SV 훈트셰임에서 활동했으며 한 시즌 만에 같은 리그의 비너 SK로 이적하여 11경기에 출전했다. 이후 2003년 7월에 5부 리그의 팀인 화이트 스타 브리기테나우에 입단하여 뛰었다, 다음 시즌에 5부 리그팀 SV 바이커스도르프의 플레잉 코치로 이적하였고 한 시즌 후에 선수에서 은퇴했다.
'''FK 오스트리아 빈'''에서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대회 | 우승 횟수 | 시즌 |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3 | 1990–91, 1991–92, 1992–93 |
오스트리아 컵 | 2 | 1991–92, 1993–94 |
5. 3. 국가대표팀
1987년 여름 소련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유고슬라비아 자그레브에서 열린 198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 소련 대표팀 일원으로 참가, 대한민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나르베코바스를 포함한 소련 대표팀 선수들은 이 공로로 소련 국제급 체육 대가 칭호를 받았다.[7] 1988년 하계 올림픽 예선에 대표로 발탁되어 스위스와의 경기에 참가했다. 아나톨리 비쇼베츠 감독은 나르베코바스를 올림픽 본선 대표팀에 합류시켰고, 서울 올림픽에서 6경기에 선발 출전했다. 9월 22일 미국전, 9월 27일 이탈리아전에서 골을 넣었다. 브라질과의 결승전에서는 발목 부상에도 불구하고 출전했으나 유리 사비체프와 교체되었다. 소련은 브라질을 2-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1990년 봄, 나르베코바스와 발다스 이바나우스카스 등 리투아니아 선수들은 1990년 FIFA 월드컵 준비를 위해 이탈리아로 건너가 소련 대표팀 훈련에 참가했다. 그러나 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출범이 확정되자 리투아니아 대표로 소집, 1990년 5월 27일 조지아와의 친선 경기에 참가했다. 2-2 무승부로 끝난 이 경기에서 나르베코바스는 선제골을 넣으며 리투아니아 국가대표팀 첫 득점을 기록했다. 그러나 당시 두 국가 모두 국제 축구 연맹(FIFA)에 가입되지 않아 A매치로 인정되지 않았다.[7] 이후 1992년 4월 14일 오스트리아와의 친선 경기를 통해 A매치에 처음 출전했고, 1994년 FIFA 월드컵 지역 예선에도 참가했다. 1997년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했으며, 2001년 이탈리아와의 UEFA 유로 2004 예선 경기를 마지막으로 대표팀에서 은퇴했다.
그는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FIFA 승인 경기는 없었지만, 1988년 하계 올림픽 소련 대표팀으로 출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나르베코바스는 이 대회에서 두 골을 기록했는데, 특히 연장전에서 이탈리아를 상대로 넣은 골은 소련의 3-2 승리에 기여했다.[7]
리투아니아 독립 후에는 리투아니아 대표로 13경기에 출전, 리투아니아 대표팀 첫 골을 포함한 4골을 기록했다.
'''리투아니아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점수 | 결과 | 대회 | |||||
---|---|---|---|---|---|---|---|---|---|---|---|
1 | 1990년 5월 27일 | 디나모 스타디움, 트빌리시, 조지아 | 조지아 | 2–2 | 무승부 | 친선 경기 | |||||
2 | 1992년 4월 28일 | 윈저 파크, 벨파스트, 북아일랜드 | 2–2 | 무승부 | 1994년 월드컵 예선 | ||||||
3 | 1994년 5월 25일 | 바잘리 스타디움, 오스트라바, 체코 | 5–3 | 패 | 친선 경기 | ||||||
4 | 1996년 10월 9일 | Žalgiris Stadium, 빌뉴스, 리투아니아 | 2–1 | 승 | 1998년 월드컵 예선 | ||||||
2014년 12월 1일 기준[8] |
'''소련 올림픽 대표팀 득점 기록'''
# | 날짜 | 장소 | 상대 | 점수 | 결과 | 대회 |
---|---|---|---|---|---|---|
1 | 1988년 9월 22일 | 서울 | 2–0 | 4–2 |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 |
2 | 1988년 9월 27일 | 서울 | 2–1 | 3–2 |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
참조
[1]
웹사이트
Narbekov Arminas Andreyevich
https://nailtimler.c[...]
[2]
뉴스
Golden Players take centre stage
http://www.uefa.com/[...]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2003-11-29
[3]
웹사이트
Narbekov Arminas Andreyevich
https://nailtimler.c[...]
[4]
웹사이트
Austria Wien Career
http://www.legioner.[...]
[5]
웹사이트
Arminas packt aus
http://www.sportnet.[...]
2009-10-10
[6]
뉴스
Österreich ist Litauen mehr als zehn Jahre voraus
http://www.nachricht[...]
[7]
웹사이트
Universiade 1987
https://www.rsssf.or[...]
2013-04-13
[8]
웹사이트
Football PLAYER: Arminas Narbekovas
http://eu-football.i[...]
[9]
웹사이트
UEFA.com - Lithuania's Golden Player
http://www.uefa.com/[...]
[10]
웹사이트
Golden Players take centre stage
http://www.uefa.com/[...]
2008-05-19
[11]
문서
리투아니아 축구 연맹의 기록에는 13경기 4골로 기록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